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은 분단 트라우마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사례를 선별하고 개인의 생애담을 구술하는 방식으로 구술조사를 진행하였다. 탈북자들의 구술은 그들의 처참한 굶주림, 목숨을 건 도강, 피를 말리는 도피, 숱한 멸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들의 이야기는 자기 가슴 속 응어리진 트라우마를 풀어놓는 과정이었다. 이에 따라 이 책은 탈북자들의 이야기를 그대로 녹취하여 담았다. 이야기의 요약과 주제어를 제시하는 것 외에 어떠한 편집도 더하지 않았다. 탈북자들은 그들의 아픔을 세상의 다른 사람들도 알아야 한다는 마음으로 위험을 감내하며 이 책의 출판을 허락하였다.
◆ 저자: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 출판사: 박이정
◆ 출판년도: 2012년
◆ 가격: 35,000원
◆ 목차
발간사
『고난의 행군시기 탈북자 이야기』를 내면서
한영숙 / 첫 번째 이야기(20100409)
<조사상황>
1960년대 전후 북한의 민속문화 정책과 실상
삼수갑산으로 추방된 이후 배운 노래들
기독교 신자 추방으로 양강도 삼수갑산으로 이주한 사연
자유롭게 이사할 수 없는 북한의 거주제도
기독교 신자들에 대해 가졌던 원망과 이해
강제추방 된 이후 고된 삼수갑산 생활 적응기
배우자를 만나 결혼하게 된 사연
희망이 없는 북한의 경제난
굶주림으로 아들과 이별한 가슴 아프고 힘들었던 기억
첫 번째 탈북 준비와 실패
감옥 생활 - 이웃의 죽음
감옥 생활 - 남편의 죽음
감옥 생활 - 사람 잡아먹은 사람들
출소 이후 부령으로의 강제 이주
두 번째 탈북 기회와 준비 과정
두만강을 건너던 이야기
남한생활에 대한 생각과 남은 바람
한영숙 / 두번째 이야기(20100414)
<조사상황>
남한의 낮은 안보의식과 북한 지원정책에 대한 불만
북한에 혁명이 일어날 수 없는 이유
북한 사회의 획일성
북한의 공포정치
60년대 평양에서의 좋았던 시절
낙후된 농산 정책과 식량부족
북한의 결혼식 상차림
삼계탕에 얽힌 슬픈 사연
외부세계와 단절된 북한사회
북한 지하교회의 실상
북한의 무속신앙
평양에서의 초등학교 시절
북한의 고된 일상과 남한에 와서 깨달은 이유
북한의 출산 문화와 결혼 문화
북한의 장례문화
전통 민속 문화가 사라진 북한
북한사람들이 선호하는 직종
북한의 문화생활
북한 여성의 출산
저절로 생긴 북한의 장마당
속옷을 못 입고 사는 북한주민들
한영숙 / 세 번째 이야기(20100421)
<조사상황>
옆집에 살았던 지휘자 가족
라디오로 남한 방송을 듣는 사람들
빈곤했던 친척네 제사상
염소기름으로 부쳐 먹었던 지짐이
가난한 북한의 시골풍경
노숙을 했던 경험과 길에서 만난 고향 소녀
새롭게 이사 간 마을에서 만난 모자
풀독이 올라 고생했던 옆집 가족
어머니를 잃은 소년
스카치테이프를 보고 놀랐던 탈북 여성
남편 옆에서 새 남편과 첫날밤을 보낸 탈북 여성
탈북 후 깨닫게 된 자기 자신
탈북 여성들의 정절 관념을 문제 삼는 것에 대한 항변
중국의 탈북자 북송좇에 대한 원한
'국가'에 대한 애절한 심정
탈북자로서의 반공의식
김일성, 김정일만을 찬양하는 북한 사회
탈북 후에 꿈꾸게 된 미래의 삶
한영숙 / 네 번째 이야기(20100428)
<조사상황>
나무에 묶어 놓았다가 잃어버린 아이
북한 여성들의 비참한 처지
탈북 학생의 증언
기차역에서 목격한 죽음들
돼지고기와 강냉이를 먹으면서 느꼈던 행복
강냉이를 나눠먹지 못한 미안함
가난했던 이웃집 사정
1920년대 소설과 비슷한 북한의 상황
식량난
제 손으로 아이를 죽인 어머니
비참한 북한의 상황
남한에 와서 부러웠던 점
북한 사람들의 원한
북한의 전력난과 물 부족
고난의 행군 시기의 식량난
탈북 후 중국에서의 삶
새로운 문화를 몰라서 생겼던 실수들
은행을 이용할 줄 몰라 어려움을 겪었던 일
북한의 화폐 개혁
전쟁에 대한 북한의 교육
북한 사람들이 들고 일어나지 못하는 이유
북한 사람들의 자아의식
북한의 선거
북한의 사회에 대한 그리움과 두만강을 넘은 이유
북한의 소금 부족
부족한 직물과 나무가 없는 북한의 산
열악한 북한의 철도
기차를 타고 가면서 본 모습
이성숙 / 첫 번째 이야기(20100519)
<조사상황>
탈북 경위
단속으로 물건을 뺏기면서도 장사하러 다녔던 기억
북한에 여자들이 많은 이유
생필품이 모자랐던 북한의 일상생활
평양에서 추방당한 이후의 삶
고난의 행군 시절의 삶의 모습
북한 사회에서 성분이 나뉘게 된 과정
북한의 성분 구분
단속과 통제가 심한 북한 사회
황폐화된 북한의 산림
물자가 부족한 북한
자살조차도 할 수 없는 북한의 현실
삶을 위협하는 굶주림
기차역에서 사람이 죽는 것을 보았던 기억
남북한의 문화적 차이
북한의 문화 통제
이성숙 / 두 번째 이야기(20100526)
<조사상황>
결혼문화에 대한 이야기
기차로 돌아다니며 장사하던 이야기
북한의 시장 시스템
두부장사와 사진기사로 일했던 이야기
구술자의 결혼에 대한 이야기
중국으로의 탈출과정
4년간의 중국생활
중국 여성과 재혼한 탈북자 이야기
남한으로의 탈출과정
이성숙 / 세 번째 이야기(20100707)
<조사상황>
춘향전에 비유하여 식량난을 풍자하는 사람들
체제 비판에 대한 정부의 통제
결혼과 출신성분
북한 체제를 유지하는 세력들
할머니께 들은 옛이야기
김일성, 김정일 우상화 이야기
거미 인생을 사는 북한의 엄마들
배급 중단 이후 학교 수업과 근무에 성실하지 않은 교사들
배급 중단으로 기초 생활을 지원받지 못하는 장애인
전기, 수도 사용이 풍요로운 남한 생활
남한 생활에 남은 꿈과 바람
생산율이 낮은 이유
결혼이 어려운 북한의 여성과 탈북 한 남성들
남한 생활 적응기
식량난 시기의 생필품 공급상황
이승준 / 첫 번째 이야기(20100906)
<조사상황>
이승준의 가족관계와 탈북 이후의 삶
어머니와 동생의 죽음
구치소에서 머리를 빡빡 민 이야기
노동단련대에서의 고생
심문받았던 기억
온성으로의 이송과 강제북송 되는 탈북자들의 모습
같이 수갑을 찼던 할아버지
도 집결소에서 있었던 일
탈북자들이 압록강, 두만강을 건너는 모습
북한의 식량 배급제
북한에서 장사했을 때의 기억
나무하러 다니던 기억들
일하기 싫어 꾀부리다가 어머니께 혼났던 기억
능쟁이 풀에 중독됐던 일
꽃제비 수용 시설에서의 기억
누나와의 이별과 재회
중국에서 만난 인신매매범
중국에서의 생활
남한에 오게 된 계기
아버지에 대한 기억
동생과의 이별
남한에서 다시 시작한 공부
남한에 와서 느낀 점들
이승준 / 두 번째 이야기(20101016)
<조사상황>
인텔리였던 아버지
처음으로 가보았던 평양
시장의 풍경과 꽃제비
물건을 훔치는 꽃제비들
기차에서 식량을 훔치는 꽃제비들
마을에 돌았던 전염병
시장에서 팔았던 찐빵과 그에 얽힌 일화
다양한 꽃제비의 유형
노동단련대, 분뇨, 농촌동원과 관련된 기억들
마을에 생겼던 장마당
물건을 훔쳐서 팔았던 기억
북한에 돌아오고 나서의 행적
다시 중국으로 탈북
우연히 만나게 된 친구
중국으로 도강하기까지의 과정
공장에서 만나게 된 할아버지
탈북 후에 중국에서 했던 일
몇 번에 걸친 탈북과 체포
북한으로 다시 돌아간 이유
꽃제비 수용소에서 들은 가족 소식
태국을 통해 남한으로 오게 된 과정
아이들을 돌보면서 지냈던 일
남한으로 오게 된 과정
북한에서의 선교활동
신앙처럼 떠받들어지는 김일성 부자